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빠르면 2~3주 내 일부 국가에 대해 다시 '상호관세' 부과를 시사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 재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 행사에서 "결국 좋은 합의가 이뤄질 것이다. 그러나 특정 기업이나 국가와 합의하지 못하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앞으로 2~3주 안에 관세율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9일, 약 90일간 '상호관세' 부과를 일시 유예한 바 있다. 이는 미국 정부와 협상을 진행하도록 각국에 시간을 주기 위한 조치였다. 현재 약 90~100개 국가가 협상에 참여하고 있지만, 짧은 시간 내에 실질적인 합의를 도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협상 실패 시 미국은 일부 국가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으며, 중국에 대해서는 이미 145%라는 매우 높은 관세율을 설정한 상태다.
CNN에 따르면, 협상이 결렬될 경우 새로운 관세가 기존 상호관세를 영구 대체할지, 임시적 조치가 될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하다. 미국은 현재 거의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잦은 정책 변화는 기업과 소비자에게 상당한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으며, 증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최근 이틀간 반등세에도 불구하고, S&P 500 지수는 지난 2월 최고점 대비 7조 달러 규모의 가치가 사라진 상태다.
수십 개국 대상의 상호관세가 유예된 가운데, 최근 중국과의 무역 갈등은 오히려 악화됐다. 주요 금융기관들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글로벌 경제를 침체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경고해 왔다.
CNN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JP모건체이스 주최 투자자 회의에서 "중국과의 무역전쟁은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조만간 긴장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언했다. 베센트 장관은 관세가 사실상 국가 간 거래를 막는 금수 조치와 같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145% 관세율은 지나치게 높아 중국과 거의 거래가 불가능한 상태"라며, 관세율이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시사했으나 완전 폐지는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중국은 미국의 협상 재개 의지에 대해 "협상을 원한다면 위협과 압박 대신 평등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대화해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고 CNN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은 매우 일방적이지만 시진핑 주석과 개인적으로는 좋은 관계"라며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관세를 다시 부과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