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GPS 위치·전파교란 오차를 보정해 cm급 위치정보를 제공, 첨단 모빌리티와 해양정보 산업화를 지원한다.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
해양수산부는 24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아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을 마련·발표했다.
해수부는 “4차 산업혁명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정보와 실시간 해양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해 개발된 고정밀 위치정보서비스로 GPS의 위치정보 오차가 기존 10m에서 5cm으로 보정됐다.
해당 서비스는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며, 다양한 첨단 모빌리티에 활용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스마트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정확한 위치에 두거나, 농업용 드론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이 가능토록 한다.
이를 통해 2024년 현재 7만 명 규모인 항행정보시스템 이용자를 2029년에는 110만 명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항행정보시스템의 활용 폭을 넓혀 기존 선박 운항자 중심에서 일반국민에게도 위치정보와 해양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 규모를 대폭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해양정보시설을 기반으로 수집·활용되는 해양정보 산업의 시장 규모를 2024년 현재 21조 원에서 2029년 27조 원으로 6조 원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다.
또 서해 접경수역 지역에서 지속되는 GPS 전파교란에 우리 국민의 어업활동이 제약받지 않도록 지상파위치정보시스템의 수신기를 서해 접경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에 우선 보급한다.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부문들
이와 더불어 지상파항법시스템의 위치 오차를 현재 최소 20m 수준에서 10m 수준으로 개선하는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센서를 갖춘 스마트 항로표지 개발을 통해서는 해상 등부표 등 항행 정보 시설이 항로 안내 기능을 넘어 해양 기상, 환경, 생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표류하는 사고 선박을 표시하는 이동식 항로표지와 긴급 위험구역 표시용 가상 항로표지 등 특수목적 항행 정보 시설도 도입한다. 정부는 이렇게 수집한 해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전용 통신망도 구축할 계획이다.
강도형 장관은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에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항행정보시설을 고정밀 위치정보와 다양한 해양정보를 제공하는 항행정보분야의 핵심 시설로 자리매김시키기 위한 비전을 담고 있다”며 “우리 국민이 더욱 안전하게 바다를 이용하고 나아가 첨단화된 일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